사업목적
•
공동육아 모임을 알리고 공동육아에서 부모와 아이들이 하는 활동을 알림
•
육아할 때의 고충과 고민을 함께 나누는 소통의 자리를 마련
•
아이와 부모가 자연 속에서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놀이와 소통의 장을 마련
사업내용 및 추진실적
1. 공동육아 소식지 제작 및 배포
2. 공동육아 소통의 날 운영
3. 공동육아 숲놀이 운영
자체평가
•
신문 만들기에 경험이 전무했던 회원들이 지혜를 모아 소식지를 신문 형태로 발간하여 의미있는 경험이 됨. 특히 회원들을 인터뷰하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회원들 간에 이해를 더 하게 되고 친목을 도호할 수 있었음. 외부 홍보 자료로 쓰일 수 있어서 더욱 좋았음
•
신문만들기를 간지 형태로 제작하여 마을 신문 사이에 간지로 넣으려는 계획이었으나 이것이 예정되로 되지 못해 아쉬웠음. 회원들도 생업이 있는 중에 신문을 제작하려니 예상 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으며 간지가 아니라 신문 형태를 원하는 회원들이 많이 간지 형태로 발간을 하지 못한 채 사업을 종료하게 됨. 사업 종류 이후에는 꾸준히 간지 형태로라도 소식지를 만들고, 예정했던 대로 마을 신문과 함께 배포하는 안을 실현해 나가기로 함
•
육아 소통 모임을 6회 진행하여 아이 키우는 일에 대하여 좀 더 깊이 있는 대화와 소통이 가능했음. 특히 육아 전문가이자 공동육아 전문가를 강사로 섭외하여 함께 대화모임을 해나간 점이 유효했음. 가족들 간에 친목을 다질 수 있었으며 육아 공동체로 한 걸음 더 성장하게 됨
•
숲놀이의 경우 아이들과 어른이 자연 속에서 어우려져서 놀 수 있어서 모두에게 흥겨운 시간이었음. 예정된 숲놀이 날짜가 마을 정원축제와 겹쳐서 한번에 진행하게 되었음. 마을 축제에 참여하는 살마들도 덩달아 함께 숲놀이를 즐길 수 있었고 놀이뜰의 여러 부스와 협력 속에서 할 수 있어서 회원들과 참여한 분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음. 특히 마을 축제 속에서 일동 부모모임이 부스를 운영하게 되어 마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굉장히 뿌듯한 경험이었음
•
외부인에게 더 많이 홍보를 하고자 했으나 쉽지 않았음. 더 체계적인 홍보방안을 벤치마킹하여 공동육아, 유아 숲놀이에 관심을 갖는 가구들이 함께 할 수 있으면 좋겠음. 육아 소통 모임 및 숲놀이 관련하여 외부 보도자료를 제작하고 배포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역량 부족으로 실현하지 못하였음. 공동육아 소식을 좀 더 널리 알리지 못한 면에서 아쉬움이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