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어 소개
home
센터소개
home

청소년문화공간 “五濼室”(다섯 가지의 즐거움)

분야
주민공모사업
주체명
감골주민회 
지역태그
사동
연도태그
2016
CONTENTS
KEYWORD
7 more properties

사업목적

청소년들이 주도하는 건강하고 재미있는 문화 공간을 만듬
청소년들이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분위기와 기회 제공함
청소년들이 공동체적 삶이 있는 마을 만들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마을의 주체로서 역할을 하고 건강한 어른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만듬

사업내용 및 추진실적

1. 청소년기획단 운영: 월1회 기획단 운영, 신규 기획단 모집

2. 청소년동아리 운영: 보드게임, 밴드, 영화, 댄스, 맛집탐방 등

3. 청소년인문학 강좌: 연5회 *청소년문화공간후원회조직

4.청소년문화공간 디자인대학: 스스로 필요한 공간 디자인, 기획 운영

5.청소년고정프로그램확대: 기타반,나빠!스터디,1318토요 교실 등

자체평가

청소년 기획단은 회의를 통해 청소년 문화공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함. 마을 행사시 물건, 음료를 판매하거나 안산시 사회적 경제지원센터에 크라우드 펀딩을 신청해 자발적으로 재정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했다는 것이 성과
스포츠 모임이나 영화 모임이 꾸준하게 진행 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시도를 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 청소년이 중심이 되어 책모임과 댄스 모임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면서 책임감 자신감을 얻게 됐음
삼일절, 평화비 기금마련, 역사 기행, 청소년 평화캠프 참여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지역과 연대하는 계기 마련
청소년 토요 동아리와 나빠스 학습모임이 정기적으로 진행 됨
청소년 기획단이 공간 마련 사업뿐만아니라 마을 공동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 지역 행사 ( 삼일절, 4.16 기억과 약속의 길, 평화비 건립기금 마련 사업, 청소년 평화캠프 )에 참여해 시대를 공감하고, 올바른 역사 의식을 세웠다는 것 또한 성과이다. 또한 청소년 평화캠프를 통해 안산지역 청소년들과 새로운 연대의 시작을 이뤘다는 점도 의미있게 평가해야 함
청소년 공간의 주인공은 청소년이지만 만드는 과정에서는 단체와 마을 어른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올해는 단체와 마을 어른들의 관심과 지원이 아이들의 높은 요구를 따라가지 못 했다. 재정 확보와 운영 문제에 대한 논의가 단체 내에서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청소년들을 위한 공간이라면 그 의미에 가치를 두고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지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2017년에는 청소년문화공간 개소 및 운영 프로그램 기획과 재정 마련 확보를 위한 행사 마련
마을 청소년 학교 ( 철학, 역사, 통일, 행사 기획, 동아리 운영 ) 운영

진행사진

기타 연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