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어 소개
home
센터소개
home

마을생태학교

분야
공동체활성화기반마련
주체명
포도당
지역태그
이동
연도태그
2019
CONTENTS
KEYWORD
7 more properties

사업목적

자생적 마을기반 활동가 양성
생태철학이 깃든 마을재생의 기반 마련

사업내용 및 추진실적

1. 마을생태학교는 기존의 다른 단체들의 생태안내자양성과정을 마을의 자원에 맞게 구성하고 집중한 양성과정임

2. 이동의 자연자원인 구룡산과 더불어 문화자원인 성호기념관(이동소재)을 적극 활용하여 성호 이익선생의 실사구시의 철학이 담긴 ‘관물’(세상을 바라보는 방법)로 이론과 모니터링을 일대일로 구성하고 구룡산에서 실시함

3. 또한 참가자들이 마을생태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마을의 주민, 특히 가족을 대상으로 자연놀이와 체험으로 풀어보는 ‘생태구룡한마당’을 구룡산에서 진행 구룡산의 생태적 가치, 역사, 지세, 문화에 대한 부분을 프로그램 내용에 포함시켜 우리 마을 자원에 대해 주민들이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함

자체평가

사업추진결과 잘된 점
마을생태학교를 통해 지역기반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활동가 양성
드러나지 않아 몰랐던 마을 인재의 재발견
주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마을 생태자원의 발굴
생태구룡한마당에 방문한 가족들의 소중한 기억
예상외 변수 등으로 부진한 점, 사업추진상 문제점 및 애로사항 등
사업비 규모와 계획보다 좀 더 규모가 커진 탓에 수많은 자발적 봉사자들의 도움과 재정적 지원을 받아야 했었다. 결과적으로는 좋은 성과를 냈으나 마을생태학교 졸업자들의 실전경험과 생태구룡한마당 참가자의 만족도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사업으로 인하여 얻은 참여단체나 사회적 효과
동동작은도서관의 거점공간을 활용하며 협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마을 연대활동 시너지를 경험할 수 있었다. 뜻이 통한다면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필요할 때 서로 힘이 되어주는 동반자로 발전해 나아가고 있음
이동 행정복지센터의 관심을 이끌어 냈고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열어두게 되었음
안산시와 안산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의 사업지원을 통해 생태구룡한마당이 시민들의 공신력을 얻을 수 있었고 잘 치러진 행사결과를 통해 긍정적 홍보효과를 얻었음
고려인 청소년들이 자원봉사자로 함류하여 민족의 동질성의 인식에 기여했음
향후 사업추진을 위한 자체 발전 방안 등
협조, 연대, 참여 단체/개인을 올해 보다 더 확보해서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성장하는 사업이 되어 마을이 자랑할 만한 ‘마을생태학교’와 ‘마을생태축제’로 발전시켜 나아가겠음

진행사진

기타 연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