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적
•
골목길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실천
•
새로운 공간적, 인적 자원의 등장과 관계망 구축
•
새로운 주체들의 성장과 연대
사업내용 및 추진실적
1. 생태, 환경 분야
•
골목길대화: 쓰레기울타리 및 분리수거함 설치 주민 후속 모임
•
골목길행동: 쓰레기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활동(모니터링, 쓰레기울타리 제작, 미니화단 조성 등)
2. 사회, 문화 분야 : 세대 공감 마을학교
•
자신의 재능을 이웃과 공유, 소통 어울리며 골목길 관계망 구축
◦
인생학교: 인문학강좌, 청년을 위한 스무 살 학교, 여행학교
◦
생활학교: 예절, 다도, 목공, 자수, 요리 등
◦
생태학교: 마을생태수업, 생태놀이터, 옥상텃밭 가꾸기 등
◦
사회학교: 사회적경제 교육, 사랑방 톡!톡!-강사, 주민 초정, 살아가는 이야기
자체평가
•
마을의 다양한 주체가 함께 하는 사업을 고민하고 추진하였으나 생각만큼 잘 진행되지 않은 것 같아 아쉬움이 남음, 이후 더욱더 함께 참여하는 내용과 방식에 대해 고민해보아야 함
•
쓰레기울타리 사업은 사동 주민참여예산 제안 사업으로 선정되었으나 실제 예산이 편성될지는 지켜보아야 함, 마을 활동이 지역의 다양한 사업과 연계되어 더욱 확장되었으면 좋겠음
•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 주민들을 하나로 모으는 작업, 혹은 주민들이 더 적극적인 마을활동으로 이어지는 지점이 무엇일까 고민이 필요함, 단순히 프로그램 참여를 넘어 공동체의식을 가지고 참여로 연결하는 것에 대한 많은 고민이 필요함
•
지솏적인 활동으로 해가 바뀔수록 마을공동체 활동이나 주민들의 자발적인 마을활동에 대한 일반 주민들의 이해의 폭은 넓어지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