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적
•
“마을을 꿈꾸게 하다”- ‘청춘기’들의 관심사와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 기획/홍보로 그들이 마을 공동체 안에서 다양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함
•
“마을안에서 성장하게 하다”- 마을 공동체의 지속적인 발전과 참여자들의 전문적이고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도모함
•
“마을과 함께 상생하다”-참여자들이 개인에서 마을 공동체원으로서 한계를 뛰어넘어 자발적이고 주체적으로 지역주민들과 소통하기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지원함
사업내용 및 추진실적
1. M
•
대상 : 반월동 거주 청소년, 청년/지역주민(공연)
•
일시 : 3월-12월
•
내용 : M (music, 음악)활동, 재능 있고 열정적인 ‘청춘기’들이 음악회, 길거리 공연을 위해 정기적으로 모여 연습하고, 소통하는 과정으로 그들의 주체성과 역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
2. V
•
대상 : 반월동 거주 청소년, 청년
•
일시 : 3월-12월
•
내용 : V (voluntary service, 봉사활동), 지역 내 독거 어르신 생신지원 서비스 및 마을 주민행사 자원봉사자 활동으로 이웃의 삶을 이해하고, 마을 주민들에게 올바른 역할모델로서 기능함
3. P
•
대상 : 반월동 거주 청소년, 청년
•
일시 : 3월-12월
•
내용 : P (performance, 공연), 청소년의 관심사와 마을 이야기로 이루어진 공연 및 콘서트를 기획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년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주민과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
4. !
•
대상 : 반월동 거주 청소년, 청년
•
일시 : 3월-12월
•
내용 :! (exclaim, 외치다.), 청소년의 주체성과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워크샵, 정기회의, 부모간담회를 통해 청소년의 욕구와 생각을 파악하고, 그들이 마을의 주체로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지함
자체평가
•
청소년과 청년이 연합한 마을 공동체의 형성으로 안정감 있고, 효과적인 운영이 가능했 던 것으로 보임
◦
청년들의 경우 리더십을 발휘하여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역할모델이 되어주고, 마을 내 문화복지 행사(반달마을 음악회 및 마을 축제)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청춘기 마을 공동체의 기틀을 마련함.
•
사업 추진에 있어 청소년과 청년 모두의 학사과정을 고려하여 기획을 해야 했기 때문에 구성원 간 의견조율의 어려움이 있었음
•
청년 단체 ‘꿈사요’(꿈을 꾸는 사람들이에요)의 활성화
◦
마을의 벼룩시장 및 아파트 주민 단체 주최 행사에 적극 참여
◦
마을 축제 자원봉사인력 요청 (반월동 행정복지센터 주최 마을 축제 인력 참여)
•
마을 문화 복지 행사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마을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역할모델의 기능을 하였으며 마을 주민들의 문화감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구상하고 구현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