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소개
•
‘불안한 마음’과‘행복하고 싶은 마음’ 그 어디쯤에서 청년들은 취업과 이직 혹은 퇴사, 진학과 자퇴, 아르바이트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 등을 선택합니다. 나름 행복한 미래를 꿈꾸며 무엇인가를 선택하고 열심히 살아내지만, 마주치는 문제에 길을 잃기도 하고 또 새로운 길을 찾아내기도 합니다. 이 과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나만 유난스러운 사람이 되기도 하고 응원보다는 걱정을 많이 받는 사람이 되니까요.
20~23살의 나이의 일반적인 모습을 상상하자면 아마도 대학생을 떠올리겠지만, 우리의 모습은 조금 다릅니다. 아르바이트를 2~3개씩 하기도 하고, 일찍이 전문분야 프리랜서로 살기도 하고, 직장에 다니며, 검정고시를 준비하고, 창업을 꿈꾸고, 그저 놀기도 하며 지금을 살고 있습니다.
남들과 조금 다르게 살아가다 보니 혼자서 오롯이 자신의 삶을 꾸리고 지켜가기엔 벅차다고 느껴서 이 모임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꾸역꾸역 살지 않고, 정말 행복하다 느끼며 삶을 살기를 바랍니다. 또 그렇게 살고 싶은 사람들이 많아지고 같이 고민했으면 합니다. 서로의 행복한 미래를 응원하고, 도울 수 있는 것이 있다면 기꺼이 돕는 모습으로 오래 함께하는 모임이 되길 바랍니다.
사업목적
•
심리적지지 기반이 되어줄 또래공동체
◦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은 우리가 버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함께 밥을 해 먹으며 나누는 대화 속에서 각자 가지고 있는 문제나 걱정들을 함께 공유하고, 도울 수 있는 것들을 돕고 함께 해결할 방법을 찾아보기도 하고, 차마 말로 하지 못한 말들은 교환일기로 적어보고 댓글을 달면서 서로를 응원하기도 하고 때로는 공감하면서 서로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공동체로 만들어져 갑니다. 이 공동체를 통해 희망이 없는 듯한 지금을 견딜 수 있도록, 어딘가에서 깨지고 실패해도 돌아올 자리가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합니다.
•
나만의 진정한 행복 찾기 (Do, happiness)
◦
무엇이 나의 진정한 행복인가를 찾기 위해 각자를 살게 하는, 살아있음을 느끼게 하는, 행복하게 하는, 버티게 하는, 성장하게 하는, 웃게 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서로 나누고 각자의 방법들을 실행해보면서 자신이 언제 행복한지 무엇이 나를 살게 하는지 알 수 있게 합니다.
사업내용 및 추진실적
1. 구성원이 조를 이뤄 요리 후 식사
2. 구성원이 정한 Do Happiness 활동 하기
•
식사 및 대화
•
행복을 위한 방법을 함께 실천하기
3. To be continued
•
앞으로 어떻게 이 활동을 계속 해 나갈지 함께 고민하는 시간
자체평가
•
보조금 지원사업 자체가 처음이었기 때문에, 회계정산, 서류정리가 어려웠음
•
사업 시작 후에 구성원들이 회사에 취업하는 등으로 참여를 하지 못하고, 코로나로 인해 원래 예정했던 만큼 사업을 진행하지 못해 아쉬움이 남았음
•
취업이나 재학 중인 구성원들도 참여할 수 있게 일정을 정해야할 거 같다라는 생각이 들었음